함수계산기의 강력한 프로그래밍 기능
사용자가 직접 수학 함수를 만드는 방법: 프로그래머블 계산기 함수계산기
함수계산기는 단순한 계산기를 넘어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래밍하여 자신만의 수학 함수를 만들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일상생활의 간단한 계산은 물론이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사용자가 맞춤형 수학 함수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단계별 가이드입니다.
1. 맞춤형 수학 함수란 무엇인가요?
맞춤형 수학 함수는 특정 작업을 위해 사용자가 정의한 재사용 가능한 공식이나 알고리즘입니다. 동일한 계산을 반복적으로 입력하는 대신, 한 번 함수를 작성하면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방정식 풀이, 반복 작업 자동화, 고급 계산 수행에 이상적입니다. 동시에 필요한 수식을 기억하기 좋고 응용가능한 수식의 일종인 함수를 통해 저장하고 재사용하며 응용할 수 있습니다.
2. "함수계산기"에서 맞춤형 함수 만드는 방법
1단계: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열기
- 앱의 프로그래밍 섹션인 공장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코드창에 함수를 직접 코딩하거나 외부에서 복사해 온 코드를 붙여 넣은 후 run버튼을 눌러 코드를 실행합니다.
2단계: 함수 정의하기
- 앱에서 제공하는 구문 SimpleMath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할인된 가격 계산하는 함수는 아래처럼 만들 수 있고
def 할인후가격(할인전가격,할인율)=할인전가격*(1−할인율/100);
가로 세로 길이가 미터로 주어졌을 경우 평수를 계산하는 함수를 만드려면 아래와 같이 코딩하면 되고
def 평(가로,세로)=가로*세로*0.3025;
또 팩토리얼같은 수학함수도 자유롭게 아래 코딩과 같이 만들어 쓸 수 있습니다.
def factorial(n){
if(n<=0){
return 1;
}
return n*factorial(n−1);
}
3단계: 함수 실행 및 테스트하기
- 작성후 run버튼을 눌러 실행하고 아래 그링 처럼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함수의 로직이 잘못됐을 경우 수정후 계속 run버튼을 눌러 테스트해 봅니다.
- 예시:


5단계: 저장 및 재사용
-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면 save 버튼을 눌러 함수를 저장합니다.
- 이후 계산기 페이지로 돌아가 F2버튼을 눌러 함수를 선택하고 함수 이름과 입력값을 입력하여 아래 그림처럼 호출합니다.

3. 맞춤형 함수 예시
사용자가 만들 수 있는 다양한 함수의 아이디어를 소개합니다:
1. 삼차 방정식 풀이:
def round6(value)=round(value*10^6)/10^6;
def cubeEqNew(a,b,c,d,x123){
var A=b/a;
var B=c/a;
var C=d/a;
var Q=(A^2−3*B)/9;
var R=(2*A^3−9*A*B+27*C)/54;
var M=R^2−Q^3;
if(M<0){
var angle=R/sqrt(Q^3);
var theta=acos(angle);
var x1=-(2*sqrt(Q)*cos(theta/3))−A/3;
var x2=-(2*sqrt(Q)*cos((theta+2*pi)/3))−A/3;
var x3=-(2*sqrt(Q)*cos((theta−2*pi)/3))−A/3;
if(x123==1){
return round6(x1);
}
elseif(x123==2){
return round6(x2);
}
return round6(x3);
}
elseif(M>0){
var sign=R/abs(R);
var inner=abs(R)+sqrt(M);
var S=-sign*cbrt(inner);
var T=Q/S;
var x1=S+T−A/3;
var bb=A+x1;
var cc=-C/x1;
var D=bb^2−4*cc;
var x2=-515151.515151;
var x3=-515151.515151;
if(D>=0){
if(x123==1){
return round6(x1);
}
elseif(x123==2){
return round6((-bb+sqrt(D))/2);
}
return round6((-bb−sqrt(D))/2);
}
return round6(x1);
}
else{
return -515151.515151;
}
}
def 삼차방정식근(a,b,c,d,x123)=cubeEqNew(a,b,c,d,x123);
2. 원의 면적 계산:
def circleArea(radius){
return pi * radius^2;
}
3. 복리 계산기:
def compoundInterest(P, r, t, n)
= P * (1 + r/n)^(n*t);
4. 맞춤형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 효율성: 반복적인 계산 작업을 자동화.
- 유연성: 기본 제공 함수로 해결할 수 없는 고유한 문제 해결.
- 학습 기회: 프로그래밍 및 수학 실력 향상.
- 개인화: 특정 요구에 맞게 계산기를 사용자화.
5. 좋은 함수를 만드는 팁
- 함수와 변수에 설명이 잘 되는 이름을 사용하세요.
- 다양한 입력값으로 함수를 철저히 테스트하세요.
- 코드를 간단하고 잘 문서화하여 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세요.
-요즘같은 AI시대에는 AI에게 코딩을 요청해서 복사해서 쓸 수 있습니다. 다만 이때는 함수계산기의 코딩문구인 SimpleMath문법을 AI가 반드시 참조하도록 해야 합니다.
"함수계산기"와 함께라면 가능성은 무궁무진합니다! 생활용 함수인 평수나 할인가격 계산하는 문제부터 수학 함수인 삼차 방정식 풀이등 고급 알고리즘 작성까지, 사용자는 자신의 경험을 완전히 사용자화할 수 있는 도구를 갖게 됩니다.
지금 함수계산기를 다운로드하고 나만의 수학 솔루션을 만들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