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부금 계산하는 함수 만들어 보기
이번에는 할부금을 계산하는 함수를 함수계산기를 사용하여 만들어 봅시다.
이번에는 AI perplexity 에게 할부금 계산하는 함수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코딩문법은 함수계산기의 코딩 방식인 SimpleMath를 사용하라고 요청했습니다.
당연히 AI가 SimpleMath가 어떤 규칙으로 돌아가는지 알려주면 그 규칙대로 코딩을 해 주겠다고 했고 그래서 SimpleMath 코딩규칙을 통째로 복사해서 프롬프트 창에 붙여놓고 이대로 짜 달라고 요청하여 아래와 같은 코딩을 얻었습니다.
def emi(principal, annualRate, years){
var monthlyRate = annualRate / 12;
var numberOfPayments = years * 12;
var numerator = monthlyRate * principal * (1 + monthlyRate)^numberOfPayments;
var denominator = (1 + monthlyRate)^numberOfPayments - 1;
var result = numerator / denominator;
return result;
}
간단히 설명하자면
emi 는 매월 할부금을 뜻하고
principal 은 원금을
annualRate는 년이율을
years 는 거치년수를 나타냅니다.
monthlyRate는 월이율을
numberOfPayment는 총개월수가 되겠습니다.
numerator 는 분자를
denominator는 분모를 각각 뜻합니다.
def는 함수를 만들 때 표기해주는 함수선언 키워드이고
var 는 변수를 처음 만들 때 표기해 주는 코딩 문법입니다.
return 은 값을 반환하라는 코딩 명령문입니다.
= 기호는 = 기호 오른쪽에서 계산한 값을 = 기호 왼쪽에 있는 변수에 값을 할당해주라는 코딩에서 가장 중요한 코딩명령어 입니다.
수학에서는 = 기호가 같다라는 등호로 쓰이지만 코딩에서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라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친숙한 한국어 이름의 함수를 하나 더 아래와 같이 만듭니다.
def 월할부금(원가, 연이율, 년수) = emi(원가, 연이율, 년수);
위 두 코드를 복사한 후 함수계산기의 공장페이지로 가서 우측 상단의 점점점 메뉴를 클릭해서 코드창에 복사한 코드를 붙여 넣습니다.
.
그 후 run 버튼을 눌러 코드를 실행하고
필요하면 save 버튼을 눌러 함수들을 저장합니다.
만약 3000만원 짜리 차를 구입할 경우 5년에 걸쳐서 년이율 6%의 이자율로 매월 할부로 구입한 경우에 할부금액은 아래 그림처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매월 약 58만원씩 5년간 갚아야 되는군요.
만약 연이율 7%에 7년간 나눠낸다면 아래 그림처럼 계산이 될것입니다.

매월 약 45만원씩 7년간 납부해야 하는군요.
이런 함수는 한 번 만들어두면 곳곳에서 응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함수이기때문에 저장해 놓고 쓰면 아주 유용합니다.
함수계산기의 코딩 기능을 활용하여 무수히 많은 생활 도우미 함수들을 만들 수 있습니다.